수렵장 개설 기피 농작물 피해 불보듯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10-30 12:35 조회26,285회 댓글0건본문
수렵장 개설 기피 농작물 피해 불보듯
전국 운영 수렵장 작년보다 40% 감소
전국 농어촌 지역 시·군들이 야생동물 개체 수 조절 등을 위한 수렵장 운영을 기피해 인명 및 농작물 피해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지난해 23곳보다 9곳(40%)이 줄었다. 2012년 운영된 수렵장은 37곳, 2011년 29곳, 2010년에는 19곳이었다. 지역별로는 경남이 4곳(통영, 의령, 함안, 고성)으로 가장 많다. 이어 충북 3곳(충주, 제천, 단양), 경북 및 강원이 각각 2곳(영양, 영덕, 원주, 영월), 충남·전북·전남이 각각 1곳(보령, 남원, 장흥) 등이다.
이에 따라 야생조수 포획(허가) 마릿수도 급감했다. 환경부가 올해 수렵철에 포획을 승인한 유해 야생조수는 모두 34만 3000마리로 지난해 48만 8000마리보다 14만 5000마리 감소했다.
농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멧돼지는 지난해 2만 6000마리에서 올해 1만 6800마리로 9200마리 줄었다. 참새는 23만 3000마리에서 15만 5000마리로, 까치는 3만 5000마리에서 2만 4000마리로 감소했다.
이처럼 수렵 지역과 포획 마릿수가 줄어 유해 야생조수들은 더욱 활개를 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최근 들어 전국 도심에 멧돼지 출몰이 잇따르면서 인명 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3년간(2010~2012년) 100㏊당 유해 야생조수 서식 밀도는 떼까마귀가 7.3마리에서 22.3마리로 3배 이상 높아졌다. 멧돼지는 3.5마리에서 3.8마리, 고라니 6.6마리에서 7.5마리, 까치 16.6마리에서 19.9마리, 참새는 95.4마리에서 111마리로 서식 밀도가 높아졌다.
실정이 이런데도 시·군들은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수렵장 운영을 기피한다. 가장 큰 이유로는 매년 수렵철 빈번한 총기 안전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들고 있다.
또 수렵철이 조류 인플루엔자(AI) 및 구제역 발생철과 겹쳐 엽사들에 의해 구제역 등이 전파될 우려가 있고, 수렵장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실익이 없다는 것이다. 2011년과 지난해처럼 AI 또는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수렵장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
하지만 농민들은 시·군들이 야생조수로 인한 농가의 엄청난 피해를 외면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북도 내 농민들은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으나 시·군들은 오히려 수렵장 운영을 줄이고 있다”며 “야생동물 피해 방지책이 헛구호에 그친다”고 비난했다.
수렵인들도 불만이다. 특히 일부 지역 수렵인들은 도지사와 시장, 군수들에게 수렵장 축소 운영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것은 물론 거센 항의까지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렵인 박모(61)씨는 “시·군들의 행정편의주의로 인해 겨울철 레저, 스포츠인 수렵 활동에 큰 지장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군 관계자들은 “시·군 자체 수렵장 운영은 득보다 실이 많다”며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환경부 주관으로 전국을 권역별로 묶는 순환수렵장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
23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올해 수렵 기간인 다음달 20일부터 내년 2월까지 전국에서 운영될 수렵장은 모두 14곳이다.
이에 따라 야생조수 포획(허가) 마릿수도 급감했다. 환경부가 올해 수렵철에 포획을 승인한 유해 야생조수는 모두 34만 3000마리로 지난해 48만 8000마리보다 14만 5000마리 감소했다.
농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는 멧돼지는 지난해 2만 6000마리에서 올해 1만 6800마리로 9200마리 줄었다. 참새는 23만 3000마리에서 15만 5000마리로, 까치는 3만 5000마리에서 2만 4000마리로 감소했다.
이처럼 수렵 지역과 포획 마릿수가 줄어 유해 야생조수들은 더욱 활개를 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최근 들어 전국 도심에 멧돼지 출몰이 잇따르면서 인명 피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3년간(2010~2012년) 100㏊당 유해 야생조수 서식 밀도는 떼까마귀가 7.3마리에서 22.3마리로 3배 이상 높아졌다. 멧돼지는 3.5마리에서 3.8마리, 고라니 6.6마리에서 7.5마리, 까치 16.6마리에서 19.9마리, 참새는 95.4마리에서 111마리로 서식 밀도가 높아졌다.
실정이 이런데도 시·군들은 이런저런 이유를 들어 수렵장 운영을 기피한다. 가장 큰 이유로는 매년 수렵철 빈번한 총기 안전사고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들고 있다.
또 수렵철이 조류 인플루엔자(AI) 및 구제역 발생철과 겹쳐 엽사들에 의해 구제역 등이 전파될 우려가 있고, 수렵장에 많은 인력과 예산을 투입하더라도 실익이 없다는 것이다. 2011년과 지난해처럼 AI 또는 구제역이 발생할 경우 수렵장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
하지만 농민들은 시·군들이 야생조수로 인한 농가의 엄청난 피해를 외면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북도 내 농민들은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갈수록 급증하고 있으나 시·군들은 오히려 수렵장 운영을 줄이고 있다”며 “야생동물 피해 방지책이 헛구호에 그친다”고 비난했다.
수렵인들도 불만이다. 특히 일부 지역 수렵인들은 도지사와 시장, 군수들에게 수렵장 축소 운영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는 것은 물론 거센 항의까지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렵인 박모(61)씨는 “시·군들의 행정편의주의로 인해 겨울철 레저, 스포츠인 수렵 활동에 큰 지장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군 관계자들은 “시·군 자체 수렵장 운영은 득보다 실이 많다”며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환경부 주관으로 전국을 권역별로 묶는 순환수렵장 운영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4-10-24 29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